건강&웰니스

[TED 강연] 왜 우리 몸은 체중 감량을 방해할까? (Katherine Saunders)

Bodynal.바디날 2025. 8. 22. 00:01

TED 강연 정보 : Why Your Body Fights Weight Loss

 

이번 글에서는 Katherine Saunders의 TED 강연 “Why Your Body Fights Weight Loss”를 요약합니다. Katherine Saunder는 이 강연에서 비만을 단순한 의지력 부족 때문이 아니라, 진화적·생물학적·사회적 요인이 얽힌 복잡한 만성 질환으로 설명합니다. 그리고 체중 감량이 왜 어려운지, 그리고 어떤 방식의 치료가 필요한지를 알려줍니다.

🎥 TED 강연 정보

  • 강연자: Katherine Saunders (비만 의학 전문의, FlyteHealth 공동 창립자)
  • 원제: Why Your Body Fights Weight Loss
  • 동영상 시간: 11분 35초
  • 출처: TED 공식 채널
  • 시청 링크: YouTube – TED
[TED] Why your body fights weight loss - Katherine Saunders

TED 강연 내용 요약

1. 비만은 의지력 부족의 문제가 아니다

Katherine Saunders는 비만을 단순히 개인의 의지력 부족으로 설명할 수 없다고 강조합니다. 인체는 진화적으로 체중을 늘리고 유지하도록 조건화되어 있으며, 이는 ‘절약 유전자 가설(Thrifty Gene Hypothesis)’로 설명됩니다. 수렵채집 시절에는 생존하기 위하여 칼로리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우리는 신체 활동이 거의 필요 없는 생활을 하고, 저렴하고 칼로리가 높은 음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에 살고 있습니다. 이런 현대의 ‘비만 유발 환경’은 인체의 본능적인 저장 경향을 과도하게 자극합니다. 또한 고지방 식단은 뇌의 시상하부를 손상시켜 포만감 신호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게 하고, 끊임없는 ‘음식 소음(food noise)’ 속에서 과식을 반복하게 만듭니다.

우리가 체중 감량을 시도할 때도 몸은 기아 상태로 인식합니다. 포만감을 주는 렙틴은 줄고, 배고픔을 유발하는 그렐린은 늘어나며, 신진대사율은 낮아집니다. 결과적으로 몸은 칼로리를 붙잡으려 하고, 이는 체중 감량 후 다시 체중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이어집니다.

2. 비만은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비만은 단순히 먹고 운동하는 문제로만 설명되지 않습니다. 유전적 요인으로 비만에 더 취약한 사람들이 있고, 수면 무호흡증 같은 건강 문제도 비만을 악화시킵니다. 경제적 여유 부족이나 건강한 음식에 대한 낮은 접근성 역시 영향을 미칩니다. 게다가 흔히 사용되는 일부 약물은 체중 증가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사회적 편견과 차별도 중요한 요인입니다. 비만인들은 낙인과 차별을 겪을 가능성이 크며, 이는 심리적 부담과 스트레스로 이어져 비만을 더 악화시킵니다. 따라서 비만은 여러 층위의 요인들이 얽혀서 나타나는 복잡한 질환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3. 비만은 개별화된 치료가 필요한 만성 질환이다

 

Katherine Saunders는 한 환자의 사례를 소개하며, 비만을 질환으로 바라보고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어릴 때부터 다이어트를 반복했던 그 환자는 '몸이 자신을 배신하는 것처럼' 느꼈고, 모든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러나 Katherine Saunders는 바바라에게  “이것은 당신의 잘못이 아닙니다”라고 말하며 바바라에게 희망을 주었고, 바바라는 새로운 희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비만 치료에 있어 ‘한 사이즈가 모두에게 맞는다’는 접근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단일 사이즈의 옷이 모두에게 맞을 수는 없습니다. 어떤 이들에게는 식단과 운동이 효과적일 수 있고, 다른 사람들에게는 수술이나 약물이 필요합니다. 최근 개발된 약물은 음식 소음을 줄이고 장기적인 체중 유지를 돕는 등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비만을 둘러싼 낙인과 비난을 해소하고 개개인에게 맞는 맞춤형 치료법을 찾는 것입니다.

결론

이 강연은 비만을 바라보는 우리의 인식을 재고하게 합니다. 비만은 게으름이나 의지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진화적 배경과 현대 사회 환경, 뇌와 호르몬의 변화, 사회경제적 요인이 얽힌 복잡한 만성 질환입니다. 따라서 비난과 편견을 거두고, 개인별 맞춤형 접근을 통해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치료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체중 감량을 방해하는 신체 메커니즘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일러스트
체중 감량을 방해하는 우리 몸의 메커니즘에 대한 고민 (Katherine Saunders TED 강연 요약)

Bodynal 생각

강연을 들으면서 가장 공감이 되는 부분은 “비만은 단순히 의지력의 문제가 아니다”라는 말이었습니다. 저 역시 지방간, 당뇨, 갑상선 기능항진증, 고혈압, 비만 등 여러 질환을 겪고 있어 체중 관리가 얼마나 복잡하고 어려운지 체감하였기 때문입니다. 사람들마다 비만이 되는 원인은 다르겠지만, 제 경우에는 역시 '음식을 많이 먹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특히 ‘음식 소음(food noise)’이라는 개념은 이 영상에서 처음 보았는데, 제가 겪었던 상황과 비슷한 것 같았습니다. 피로감이나 스트레스가 쌓이면 머릿속이 음식 생각으로 가득 차고, 그럴 때마다 식습관을 조절하기가 정말 어려웠었거든요. 혹자는 의지력이 부족하다고 할 지도 모르겠지만, 당시의 제가 발휘할 수 있는 의지는 다 발휘했던 것 같습니다.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마음속 한켠에서 제 의지력이 남들보다 부족하다는 생각이 있긴했었는데, 실제로는 뇌와 호르몬의 변화가 이런 현상에 크게 작용한다는 점에서 나름 위로를 받았습니다.

빠른 결과보다는 장기적인 건강 관리가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재차 확인하며, 앞으로도 차근차근 관리하고자 합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도 혹시 체중이나 건강 문제로 힘들어하고 계시다면 자신을 탓하기보다 몸이 가진 본능적 특성과 환경적 요인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찾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서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길일 것입니다.

※ 본 포스팅은 정보 제공을 위한 요약이며, 개인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의학적 판단은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