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웰니스

집에서 혈압 재는법 | 혈압 정상범위와 기록하는 습관

Bodynal.바디날 2025. 9. 26. 00:03
반응형
필자는 병원에서 혈압을 측정할 때, 혈압이 높게 나오는 편입니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A병원 (내과)에서는 정상혈압의 끝자락에 있고, B병원 (안과)에서는 고혈압이 의심되니 내과에서 가서 진료를 받으라고 진단서를 끊어주더라고요. 혈압측정기는 두 병원이 비슷하게 생겼는데, 측정 값이 꽤 달라서 의아했었습니다. 그래서 찾아보니  병원에서는 정상인데 집에서만 높거나(가면 고혈압), 병원만 가면 올라가는(백의 고혈압) 경우들이 많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집에서 혈압 재는법”을 익혀 스스로 집에서도 꾸준히 혈압을 측정 및 기록하고, 그 기록을 가지고 평소 다니는 내과 의사 선생님과 함께 볼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즉, 이 글은 의료 전문가의 조언이 아니라 건강을 위해 집에서도 정확히 혈압을 측정하고자 하는 한 일반인이 정리하는 글입니다.

혈압이란?

  • 두 숫자: 수축기(위) / 이완기(아래)
  • 심장이 밀어낼 때↑, 쉴 때↓ → 혈관 벽에 가해지는 압력
  • 수치는 상황·시간·장소에 따라 변동 가능

혈압이란 심장에서 나온 혈액이 혈관 속을 흐를 때 혈관 벽에 미치는 압력을 뜻합니다. 혈압은 심장이 피를 내보낼 때(수축기)와 쉬는 순간(이완기)의 압력을 두 숫자로 표시합니다(예: 120/80 mmHg). 잠을 덜 잤거나, 카페인을 섭취했거나, 긴장했을 때 수치가 달라질 수 있어 한 번의 측정만으로 판단하기보다는 여러 날의 평균을 보는 것이 좋습니다.

혈압을 측정하는 모습을 표현한 일러스트
혈압을 측정하는 모습을 표현한 일러스트

혈압 정상범위 한눈에 보기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에 안내된 내용을 보니, 고혈압은 수축기혈압 140 mmHg 이상, 이완기혈압 90 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수축기혈압와 이완기혈압이 모두 120 mmHg, 80mmHg 미만일 때 정상혈압이라 합니다. 다만, 본 글의 상단에서 언급하였던 병원에서 잴 때, 가정에서 잴 때 등 어떤 장소와 환경에서 측정하느냐에 따라 혈압이 다르게 측정될 수 있어 자신의 평소 상태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도록 여러 날의 평균을 재는 것이 좋습니다.

  • 진료실 기준: 140/90 mmHg 이상 → 고혈압 진단 고려
  • 가정 기준: 135/85 mmHg 이상이면 주의
  • 여러 날의 평균으로 판단하는 습관이 중요
측정 환경 주의 기준(수축기/이완기) 비고
진료실 혈압 ≥ 140 / ≥ 90 긴장 영향↑
가정 혈압 ≥ 135 / ≥ 85 평소 상태 반영
24시간 활동 평균 ≥ 130 / ≥ 80 패턴 파악에 유용

집에서 혈압 재는법

집에서 혈압 재는법

  • 시간: 아침 기상 후 1시간 이내 / 저녁 취침 직전
  • 준비: 소변 후, 5분 안정을 취한 뒤, 말없이 측정
  • 자세: 등받이에 기대어 앉고, 팔은 심장 높이
  • 반복: 1~2분 간격으로 2회 측정 → 평균 기록

가정에서는 상완(위팔) 자동 전자혈압계 사용을 권합니다. 손목형은 자세 오차의 영향을 쉽게 받습니다. 측정 전 30분 이내의 커피·흡연·음주는 피하고, 최소 5분은 조용히 앉아 휴식하세요. 커프는 위팔에 감되 손가락 두 개가 들어갈 정도의 여유를 두고, 팔이 심장 높이가 되도록 테이블 위에 쿠션을 받쳐줍니다.

집에서 편안하게 혈압 측정하는 모습을 표현한 일러스트
집에서 편안하게 혈압 측정하는 모습을 표현한 일러스트

혈압측정 단계별 요령

  1. 커프 착용: 호스가 팔 안쪽(팔꿈치 쪽)으로 향하게, 위팔에 단단히 고정
  2. 자세 잡기: 의자에 깊숙이 앉아 등·발바닥 지지, 다리 꼬지 않기
  3. 측정: 말하지 않고, 움직임 최소화 → 2회 측정 후 평균
  4. 기록: 날짜·시간·수축기/이완기·맥박을 함께 기록

아침·저녁으로 5~7일 연속 측정해 평균값을 구하면, 일시적으로 바뀌기도 하는 혈압 측정값이 아니라 “진짜 내 혈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혈압 재는법 TMI: 자주 틀리는 포인트와 오해

  • 소매를 걷지 않고 재기: 두꺼운 옷 위에 커프를 감으면 실제보다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반드시 맨팔에 측정하세요.
  • 다리 꼬고 앉기: 다리를 꼬면 5~10mmHg 높게 측정됩니다. 양발을 바닥에 평평하게 두는 것이 원칙입니다.
  • 바로 측정하기: 커피·흡연·운동 직후에는 일시적으로 혈압이 올라갑니다. 최소 5분간 안정을 취한 뒤 측정하세요.
  • 한쪽 팔만 재기: 초기에는 양쪽 팔 모두 측정해야 합니다. 좌우 차이가 10mmHg 이상이면 혈관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 측정 중 말하기: 대화하거나 웃으면 혈압이 올라갑니다. 측정 순간만큼은 조용히, 편안히 유지하세요.
  • 한 번만 재도 충분하다?: 혈압은 변동성이 크므로 최소 2회 이상 측정 후 평균값을 기록하세요.
  • 혈압은 낮을수록 무조건 좋다?: 수축기 90mmHg, 이완기 60mmHg 이하로 내려가면 어지럼증·실신 위험이 있습니다. 정상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바른자세로 편안하게 혈압을 측정하는 모습을 표현한 일러스트
바른자세로 편안하게 혈압을 측정하는 모습을 표현한 일러스트

정말 TMI 하나 더 언급할게요. 병원에서 혈압측정기로 혈압을 측정하는 중에 전화가 와서, 측정하면서 말을 했더니 혈압측정기가 이런 말을 하더라고요. "측정 중에는 말하지 마세요." 자동으로 그냥 나오는건가 싶었는데, 전화하는 중에 여러 번 나와서, 환자가 말을 하고 있는지 아닌지도 측정하는 건가 싶었습니다.

혈압을 재고 기록하는 습관: 앱·수첩 활용

  • 날짜·시간·혈압(수축기/이완기)·맥박을 함께 기록
  • 이상 수치가 반복될 때만 의료진과 상의(1~2회는 변동 가능)
  • 아침 평균이 일관되게 높다면 생활습관·복약 시간 점검

스마트폰 건강 앱이나 혈압계 전용 앱을 사용하면 자동 저장·그래프 확인이 쉬워집니다. 내 혈압의 패턴(아침형/저녁형, 주중/주말)을 꾸준히 기록하여 스스로 알게되면 자신의 식습관·수면·활동 조절이 한결 수월해 질 수 있습니다.

혈압을 재고 기록하는 모습을 표현한 일러스트
혈압을 재고 기록하는 모습을 표현한 일러스트

💡 더 알아보기 | 혈압측정기 선택 방법

• 가정용은 상완 자동 전자혈압계가 표준적입니다.
• 커프 크기는 팔둘레에 맞춰 선택(작거나 크면 오차↑).
• 연 1회 정도 병원 혈압측정기와 교차 확인하면 신뢰도 Up.
• 측정 전엔 5분 휴식, 동일한 팔과 동일한 시간대에 꾸준히 측정해 주세요.

혈압 측정하고 병원 가야 할 때 (중요)

  • 수축기 ≥ 180 또는 이완기 ≥ 120이 반복될 때
  • 심한 두통·흉통·호흡곤란·시야장애·신경학적 이상 동반 시
  • 혈압이 높으면서 코피, 어지럼, 구토가 지속될 때

위 증상·수치가 보이면 즉시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의료전문가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집에서 재는 수치도 도움이 되지만, 스스로의 건강을 위해서라면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법은 의료전문가와 상의해 주세요.

 

 

빈맥 뜻, 심장이 빨리 뛸 때 나타나는 증상 정리

필자는 학창 시절 때부터 심장이 빨리 뛰는 편이었습니다. 아주 빠르다기보다는 친구들보다 맥박수가 10 ~ 15정도 높은 편이었습니다. 물론, 그 때에는 정상 심박수의 범위 내에 있었습니다. 스스

bodynal.com

 

지방간 간수치 높을 때? 원인·관리법·지방간 영양제 총정리

지방간, 단순한 지방 축적이 아니다지방간은 간세포 내 지방이 5% 이상 축적된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 간은 붉은색이지만 지방이 많이 쌓이면 노랗게 변하며,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건강검진 중

bodynal.com

 

감태 효능 10가지 알아보기

필자는 '김'을 정말 좋아합니다. 김을 한 번 사면 한 박스 가득하게 사는 편인데, 이번에 김을 먹으면서 보니 벌써 바닥이 보이길래 또 김을 사야겠거니 했습니다. 그러다가 김은 김인데, 처음 보

bodynal.com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