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병원에 갈 때마다 진료를 받기 전에 혈압을 잽니다. 그런데 A병원에서 잰 혈압과, B병원에서 잰 혈압이 다르더라고요. A병원은 정상범위이거나 고혈압 전단계 정도의 범위인데 B병원에서는 늘 고혈압으로 나와 놀란 적이 있습니다. A병원은 늘 다니는 곳이라 편안하고, B병원에서는 수술을 받기 전과 당일, 후에 측정하다보니 뭔가 불안하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직 집에서는 혈압측정기가 없어서 평상시의 혈압은 측정해보지 못하였지만 가정에서 잰 혈압과 병원에서 잰 혈압도 다를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런 혼란스러운 상황을 설명하는 용어가 바로 ‘백의 고혈압’과 ‘가면 고혈압’입니다.
백의 고혈압(White Coat Hypertension)이란?
- 정의: 병원에서만 혈압이 높게 측정되는 현상
- 원인: 긴장, 불안, 의사·간호사 앞에서의 심리적 압박
- 발생률: 고혈압 진단자의 약 20%가 이에 해당
백의 고혈압은 병원에서 긴장할 때 혈압이 올라가 실제보다 높게 나오는 경우입니다. 의사의 하얀색 가운을 보기만 해도 긴장하여 발생하는 고혈압이라고 해서 백의 고혈압 (White Coat Hypertension)이라고 합니다. 진짜 고혈압이 아님에도 약을 복용하면 오히려 어지러움이나 무기력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병원 진료실에서 측정한 혈압만으로 성급하게 약을 시작하기보다는, 가정에서도 혈압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가면 고혈압(Masked Hypertension)이란?
- 정의: 병원에서는 정상인데 집이나 일상생활에서는 높은 혈압
- 위험성: 발견이 늦어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쉬움
- 사례: 아침 혈압, 수면 중 혈압에서 주로 발견
가면 고혈압은 병원에서는 정상으로 나오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높은 혈압을 보이는 경우입니다. 이 상태가 더 위험한 이유는 실제로 고혈압이라 치료가 필요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병원에서의 진단이 늦어져 치료가 뒤로 밀리면서 심뇌혈관질환 위험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특히 아침 기상 직후나 밤 시간대에 혈압이 높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필자는 A병원에서는 정상범위거나 고혈압 전단계에 해당하는 혈압이었는데, B병원에서는 혈압이 높게 나오다보니 평상시 집에서도 혈압을 측정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편안한 환경인 집에서 측정하였을 때 높게 나온다면, 오히려 A병원에서 가면 고혈압을 보이는 상태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백의 고혈압 vs 가면 고혈압 비교
다음은 백의 고혈압과 가면 고혈압의 특징을 비교한 표입니다. 한 눈에 알아보실 수 있게 간단하게 정리하였습니다. 백의 고혈압은 병원에서는 혈압이 높게 측정되고, 가면 고혈압은 병원에서는 정상이지만 집에서는 혈압이 높게 측정되는 증상입니다.
구분 | 백의 고혈압 | 가면 고혈압 |
---|---|---|
개념 | 병원에서는 높음, 집에서는 정상 | 병원에서는 정상, 집에서는 높음 |
위험성 | 불필요한 약물 복용 위험 | 진단 지연, 합병증 위험 증가 |
필요한 조치 | 가정 혈압 확인 후 치료 결정 | 가정 혈압·24시간 활동 혈압 측정 필요 |
고혈압, 정확한 진단과 관리법
- 가정 혈압 측정 습관화 (아침·저녁 하루 2회)
- 혈압 기록 앱이나 수첩 활용
- 필요 시 24시간 활동 혈압 측정으로 확인
- 불필요한 약 복용 지양, 반대로 치료 시기 놓치지 않기
혈압은 언제 어디서 재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단 한두 번의 측정치로 고혈압 여부를 단정해서는 안 됩니다. 집에서도 규칙적으로 측정하고 기록해 두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기록을 가져가면 의사도 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고, 본인도 스스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 혈압 재는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에서 확인해 주세요.
• 아침(기상 후 1시간 이내), 저녁(잠자기 전) 측정
• 측정 전 5분간 앉아 휴식
• 커프는 위팔에 심장 높이로 착용
• 한 번이 아니라 1~2분 간격으로 2회 측정 후 평균값 기록
집에서 혈압 재는법 | 혈압 정상범위와 기록하는 습관
필자는 병원에서 혈압을 측정할 때, 혈압이 높게 나오는 편입니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A병원 (내과)에서는 정상혈압의 끝자락에 있고, B병원 (안과)에서는 고혈압이 의심되니 내과에서 가서 진
bodynal.com
빈맥 뜻, 심장이 빨리 뛸 때 나타나는 증상 정리
필자는 학창 시절 때부터 심장이 빨리 뛰는 편이었습니다. 아주 빠르다기보다는 친구들보다 맥박수가 10 ~ 15정도 높은 편이었습니다. 물론, 그 때에는 정상 심박수의 범위 내에 있었습니다. 스스
bodynal.com
BMI 지수 계산법과 비만 기준, 건강 상태 진단에 적합한가?
BMI 지수, 건강 상태 진단에 적합한가?BMI(Body Mass Index, 체질량 지수)는 비만을 진단할 때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계산법은 간단하며,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
bodynal.com
'건강&웰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화과 효능 5가지 | 제철 시기·고르는법·먹는법·보관법 (0) | 2025.09.29 |
---|---|
꿀, 당뇨 환자도 먹을 수 있을까? 꿀과 설탕의 차이 (0) | 2025.09.28 |
집에서 혈압 재는법 | 혈압 정상범위와 기록하는 습관 (0) | 2025.09.26 |
감태 효능 10가지 알아보기 (0) | 2025.09.25 |
2025 추석 인사말 모음 | 친구·직장동료·상사·어르신·거래처·교수님·선생님 (0) | 2025.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