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얼마전 복용하는 약을 처방받으러 병원에 갔다가 독방예방접종에 대한 안내를 받았습니다. 의사 선생님 말씀으로는 올해는 독감이 더욱 유행할 것이라 예고되었으니, 가급적 명절에 사람들을 많이 만나서 걸리기 전에 미리 맞으라고 하시더군요. 당시에는 제가 다음날 외부 일정이 있어서, 주사 맞고 다음날까지 아프면 일정에 지장이 갈 것 같다고 주저했더니 명절 전에만 미리 맞으라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조만간 독감예방접종을 맞으러 다시 병원에 가지 않을까 싶네요. 이번 글에서는 올해 2025 독방예방접종이 필요한 이유와 시기(기간), 무료 접종 대상, 주의사항 등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독감 예방접종이 중요한 이유
독감은 단순한 감기가 아니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폐렴 등과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아래와 같은 고위험군은 반드시 예방접종이 필요합니다.
- 👶 영유아 – 면역체계가 미숙해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음
- 👵 65세 이상 고령층 – 면역 저하로 중증 진행 위험이 큼
- 🤰 임산부 – 면역 변화와 심혈관계 부담으로 감염에 취약
- 💊 만성질환자 – 당뇨, 심혈관질환, 신부전증 등 기저질환자
2025년 국가 무료 예방접종 대상·기간·접종기관
우리 나라 정부는 매년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무료 접종을 지원합니다. 올해 대상자와 접종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무료 접종 대상 ① 어린이
- 지원 대상 : 생후 6개월 ~ 만 13세 어린이 (2012.1.1. ~ 2025. 8.31. 출생아)
- 지원 기간 : 총 1~2회 지원
- (2회 접종대상) : 2025년 9월 22일 ~ 2026년 4월 30일
- (1회 접종대상) : 2025년 9월 29일 ~ 2026년 4월 30일
- 접종 기관 :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 기타 안내 사항
- 접종이 가능한 최소 연령은 생후 6개월
- 생후 6개월 ~ 9세 미만 어린이 중,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이 처음이거나 이전 접종력을 모르는 경우, 그리고 2025년 6월 30일 전까지 인플루엔자 백신을 총 1회만 접종한 경우에는 2회 접종 지원
무료 접종 대상 ② 65세 이상 고령층
- 지원 대상 : 65세 이상 (1960.12.31. 이전 출생자)
- 지원 기간 : 이전 절기 접종이력과 상관없이 매년 불활성화백신 (0.5ml) 1회 접종
- (75세 이상) : 2025년 10월 15일 ~ 2026년 4월 30일
- (70세 ~ 74세) : 2025년 10월 20일 ~ 2026년 4월 30일
- (65 ~ 69세) : 2025년 10월 22일 ~ 2026년 4월 30일
- 접종 기관 :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무료 접종 대상 ③ 임산부
- 지원 대상 : 임신 주수와 관계없이 임신이 확인된 임신부로 산모수첩, 임신확인서 등의 서류 제시
- 지원 기간 : 2025년 9월 29일 ~ 2026년 4월 30일
- 접종 기관 :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 기타 안내 사항
- 이전 절기 접종이력과 상관없이 매년 불활성화백신 (0.5ml) 1회 접종
- WHO를 비롯한 국내외 국가들은 인플루엔자 유행시기에 임신주수와 관계없이 예방접종을 권장
일부 지자체에서는 만 60세 이상 등으로 대상을 확대하기도 하므로 거주지 및 주소지의 보건소 홈페이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자가 사는 곳에서는 중증 장애인 (종전 1~3급), 의료급여 수급권자 1~2종, 국가유공자 등에 한하여 14세부터 64세까지도 지자체에서 무료접종을 실시합니다.
독감 예방접종 시기, 언제 맞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을까?
최적 독감 예방 접종 시기
백신 접종 후 면역 형성이 완료되기까지 약 한 달이 걸립니다. 또한 면역 효과는 이듬해 봄(3~5월)까지 이어집니다. 따라서 10월~11월 초에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주의할 점
- 너무 이른 접종 → 다음 해 늦봄까지 효과가 떨어질 수 있음
- 너무 늦은 접종 → 면역력이 생기기 전에 독감에 노출될 위험
너무 이르게 접종하면 다음해 늦봄까지 효과가 이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너무 늦게하면 면역력이 생기기 전에 이미 독감에 걸려서 예방접종을 맞는 의미가 없을 수 있습니다.
독감 예방접종 후 주의사항
- 접종 부위 통증, 붓기, 미열은 흔한 반응이며 대부분 1~2일 내 호전됨
- 증상이 심하거나 2일 이상 지속될 경우 반드시 병원 진료가 필요함
- 접종 직후 30분간은 의료기관에 머물며 이상 반응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음
참고 자료
1. 질병관리청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사업 (최종검토일: 2025-09-01)
2. YTN 사이언스 투데이 동절기 인프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오늘부터 시작
3. 산소형제TV 예방접종해도 독감 걸리던데, 인플루엔자 접종해야해요?
반응형
'건강&웰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로 곡물 효능 먹는법 체중 감량 혈당 조절 (0) | 2025.10.02 |
---|---|
서방정 뜻·원리·장단점·주의사항 (0) | 2025.09.30 |
무화과 효능 5가지 | 제철 시기·고르는법·먹는법·보관법 (0) | 2025.09.29 |
꿀, 당뇨 환자도 먹을 수 있을까? 꿀과 설탕의 차이 (0) | 2025.09.28 |
백의 고혈압 vs 가면 고혈압 : 내 혈압이 다르게 측정된다고? (0) | 2025.09.27 |